정년 몰린 숙련공, 재고용 컨트롤타워 필요하다 [구심점 잃은 신중년 고용]

박정현 기자 승인 2024.08.20 05:09 의견 0

부산 50~64세 인구 83만여 명
전체 인구 중 25.2%에 이르러
중소기업 상당수 직종 미스매치
노동자도 은퇴 후 삶 설계 난망

19일 부산일자리 종합센터에서 중년 구직자가 구직관련 서류를 살펴보고있다.


부산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 대표는 청년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신중년’ 근로자로 눈을 돌렸다. ‘일을 원하는 사람’은 많지만 ‘일할 수 있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A 대표는 “중소기업 상당수가 신중년 근로자를 적극적으로 채용하려고 하지만 원하는 숙련공 신중년을 구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며 “인력 여건상 중소기업이 정부나 지자체의 혜택이나 정보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대단히 벅찬 일”이라고 토로했다.

가장 두터운 인구층을 형성한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의 법정 정년이 시작됐지만, 부산의 고령자 고용 컨트롤타워가 여전히 부재하면서 이른바 ‘신중년(50~64세)’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흩어져 있는 기관들이 협력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를 갖춰야 하고, 이를 중심으로 일할 여력이 되는 신중년이 노동시장에 오래 머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9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시 산하에는 모든 연령층의 고용을 돕는 부산일자리종합센터를 비롯해 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온라인 플랫폼 50+ 부산포털 등이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정한 부산경영자총협회 중장년내일센터, 노사발전재단 부산중장년내일센터, 부산지방고용노동청 산하 부산고용복지플러스센터, 여성가족부 산하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구인 구직 지원 기관을 운영 중이다. 시와 국민연금공단 부산지역본부가 함께 하는 광역노후준비지원센터 등을 아우르면 신중년 일자리 지원 기관은 20곳을 훌쩍 넘긴다.

이는 부산의 인구 지형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부산 지역 50~64세 인구는 83만 756명으로 전체 인구(329만 964명)의 25.2%를 차지한다. 노년 인구 급증으로 노동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신중년의 역할이 커지면서 시 뿐만 아니라 여러 정부 부처에서 지원 기관을 별도 운영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정작 신중년을 고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선 불만이 터져나온다. 제조업에 기반을 둔 부산 중소기업 상당수가 적임자 고용에 난색을 표했다. 임금 및 직종 미스매치와 안전사고, 고령 노동자 관리 등 중소기업이 다루기 힘든 영역을 도와줄 기관이 마땅찮아서다.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혜택을 받고 싶어도 정보 자체가 부족하거나 사업을 따낼 인력이 없는 경우가 상당수다.

신중년도 힘들긴 마찬가지다. 노년층보다 상대적으로 온라인에 익숙하지만 흩어져 있는 방대한 정보 속에서 원하는 일을 찾기 어려운 데다 단시간 내 은퇴 후 삶을 설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신중년이 노동시장에 오래 머무를수록 인구 절벽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타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령자=숙련노동자’로 이미지를 전환하고 청년층에 기술을 전수하면서 노동시장의 급속한 노화를 늦추기 위해선 지원기관들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업무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

특히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다양한 시책을 토대로 부산만의 신중년 정책을 펼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신라대 사회복지학과 초의수 교수는 “정부부처가 다르다 하더라도 총괄 컨트롤타워가 갖춰지면 기관별 네트워크 구축, 일자리 안내 및 연계, 직업교육 훈련, 창업 지원, 정책 연구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초고령사회에 가장 먼저 진입한 부산이 신중년 활용을 통한 혁신적 고용정책의 선두주자가 될 수 있는 만큼 부산형 고용통합 서비스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 출처 : 부산일보 윤여진 기자, 남형욱 기자(2024.08.19) >

저작권자 ⓒ 한국신중년중앙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