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고령화 부산 신중년 고용 강화로 경제 활력 찾아야
박정현 기자
승인
2024.09.02 13:05
의견
0
은퇴 전후 50~64세 구인·구직 부조화
고령자 일할 수 있어야 도시 미래 기약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 출생)의 법정 정년이 올해 시작되면서 향후 10년간 단계적으로 산업 현장을 떠난다. 1차(1955~1963년 출생)를 포함한 1·2차 베이비부머는 전체 인구의 32.1%를 차지하며 우리나라 산업화를 견인했다. 이들은 한국이 1955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 67달러에서 지난해 3만 6194달러로 540배 증가하는 성장 가도의 주역이었다. 문제는 저출생과 고령화의 부작용인 일손 공백이다. 특히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겨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상태다. 일자리 불균형이 성장 동력 둔화로 이어지지 않게 하려면 베이비붐 세대를 노동시장에 더 머물게 하는 대책이 시급하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은퇴 연령은 55세다. 아직 한창 일할 나이인데다 전문성과 숙련도까지 갖췄지만 재취업이 용이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반면 업체는 청년층 구인이 여의치 않자 현장 경험이 풍부한 ‘신중년(50~64세)’으로 눈을 돌렸지만 적임자 찾기에 애를 먹고 있다고 이구동성이다. 〈부산일보〉 취재에 따르면 지역의 산업 현장에서는 신중년 구인·구직의 부조화 현상이 심각하다. ‘일을 원하는 사람’과 ‘일할 수 있는 사람’ 사이의 정보 불균형이 문제다. 또 지역 중소기업들은 임금 체계, 직종 전환, 안전사고, 고령자 관리 등 신중년 고용 이후 필요한 지원을 받고 싶지만 마땅한 지원 기관을 찾지 못한다고 호소한다.
현재 부산에는 부산일자리종합센터를 비롯해 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온라인 플랫폼 50+ 부산포털 등 20곳이 넘는 고용 지원 기관이 있다. 지원 기관이 많은 이유는 신중년이 부산 인구 4명 중 1명이 넘는 25.2%(83만 756명)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는 신중년의 재취업이 지역의 지속 가능성이 걸린 문제라는 점을 시사한다. 신중년 세대가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지 못하면 사회경제적 부담이 늘어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일자리를 찾아 역외 유출될 경우 인구 감소까지 가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중년 고용 활성화를 위해 지원 기관 사이의 업무 협력에 기반한 지역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초의수 신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신중년은 초고령화사회의 미래”라고 정의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일손을 놓고 산업 현장을 그냥 떠나버리면 발생할 부작용에 우리 사회는 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생산인구와 소비·세수 감소로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것은 물론이고, 급증하는 복지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 신중년 세대가 현장에서 오래 머무는 사회가 부산의 미래다. 고령 구직자도 성장 동력이 될 수 있게끔 사회적 지원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특별·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한 부산에 필요한 건 ‘신중년 고용 혁신’이다. 관계 당국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출처 : 부산일보 김종진 기자(2024.08.21) >
저작권자 ⓒ 한국신중년중앙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